6월 미국의 FOMC에서 자이언트 스텝이 발표가 되면서 시장에 충격을 주었습니다. 미국의 경제지표들중에 6월에 발표가 되어 다음 FOMC에서는 자이언트 스텝을 하겠다고 시장에 이야기를 하고 있고, 그에 따른 경제지표들이 어떻게 발표되고 있는지 확인을 하고 다음 7월 FOMC기간(22.7.26~27)에 변화가 발생하는지 아직은 시간이 있지만 6월에 발표가 되고 잇는 FOMC회의에 영향을 주는 경제 지표를 알아보겠습니다.
비농업 고용건수
비농업 고용지수는 등락폭이 심한 농축산업을 제외한 전반적인 산업의 신규고용건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일자리가 생겨나면서 소비자수입과 지출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지표중에 하나입니다.
22년 05월 06일 (4월분) 428k로 발표가 되고, 22년 06월 03일(5월분) 390k가 발표되었습니다. 고용건수가 22년 3월 발표된 2월분의 678k를 정점으로 고용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신뢰지수
소비자신뢰지수는 컨퍼런스보드(Conference Board) 민간 경제조사기관의 소득, 지역경제, 노동시장, 제조업, 금리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1985년을 100으로 기준삼아 비율로 표시하여 발표하며, 시장에서는 수치보다는 지난조사와 이번조사의 수치를 비교하여 지난조사의 수치보다 이번조사의 수치가 높게 나오면, 긍정적으로, 낮게 나오면 부정적으로 시장에서는 해석합니다. 22년 04월 27일 103.80이 발표되고 22년 05월 24일 102.60으로 1.20이 낮게 발표되고, 22년 06월 29일 96.40으로 지난달보다 6.20이 낮게 발표되면서 소비자들이 향후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발표되었습니다.
민간부문고용
ADP(Automatic Data Processing)사에서 발행하는 전미 고용보고서약 400,000개 미국의 사업체 고객의 임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농업민간 고용의 월변화에 대한 척도을 발표하고 정부의 비농업고용부분발표보다 먼저 발표가 되어 정부데이터의 예측치가 됩니다. 이지표는 다양한 고용보고서의 임금을 데이터로 하다보니 때에 따라서는 변동폭이 매우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민간 비농업부분고용변화를 나타내는 수치가 발표되면 지난달 대비 높은 경우 앞으로 경기가 좋아지며 고용이 늘어날것으로 보고, 지난달 대비 낮은 경우 앞으로 시장의 경기가 않좋고 고용시장이 않좋을 것으로해석합니다.
지난 22년 02월 02일 (1월분) -301K로 발표가 되고 22년 03월30일(3월분) 455k가 발표되면서 급성장하고 22년 06월 02일 (5월분) 128k가 발표되면서 고용시장이 않좋아지고 있습니다.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는 지난주에 처음으로 실업수당을 신청한 사람의 수를 측정한것입니다. 한국시간으로 매주 목요일 21:30분에 발표가 됩니다. 2020년 3월 코로나가 발생하기 이전 2018~2019년까지는 200k~220k를 나타내고있었습니다. 2020년 3월 19일 코로나가 나타나면서 에는 하면서급격한 변화가 발생2020년 3월 211k에서 4월09일 발표에는 6.648k가 발표되었습니다. 이후 정부지원금이 지급되고, 코로나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서서히 줄어들며, 2021년 11월 24일 발표에서 199k를 발표되었고, 22년 04월 07일 166k가 발표되었습니다. 코로나에서 완벽히 벗어나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고 이야기 하고 있었으나 22년 06월 02일 200k를 발표로 매주 229k로 높아지고 22년 06월 30일에는 231k가 발표되면서 신업수당청구건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ISM제조업 구매관자자지수(PMI)
미국 공급관리자협회(The institute of supply management)ISM 가 매달 400개 이상의 기업에서 구매/공급에 관련 담당자를 대상으로 앞으로 기업이 필요한 물품등을 어떻게 할건지 (신규주수, 수주잔량, 신규수출, 수입, 생산, 납기일, 재고 , 고용및 물가등) 설문조사를 하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하여 발표하는 지표입니다. 발표되는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은 경우 앞으로 경기 전망이 좋은 것이고, 낮은 경우 부정적으로 시장에서는 해석합니다.
22년 03월 02일 (2월분)이 58.6으로 예상치 58.0보다 높게 발표되었지만, 22년 05월 02일(4월분)은 예상치 57.6보다 낮게 실제 55.4가 발표되었고, 22년 06월 01일 시장에서는 54.5를 예상하였지만, 56.1이 발표되면서 기업의 전망을 좋게 보았으나, 22년 7월 01일(6월분)은 시장에서 54.9를 예상하였으나 1.9가 낮은 53.0일 발표되면서 앞으로의 경기를 부정적으로 해석하고 있다고 나왔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변동을 측정합니다. 소비자의 구매동향및 인플레이션의 변동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지표가 예상보다 높으면 앞으로 물가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고 지표가 낮아지면 경기가 앞으로 낮아진다고 시장에서는 해석하고 있습니다.
21년 06월 10일(5월분)발표가 예상 4.7보다 높은 5.0%가 발표되면서 경기가 살아나고 있었지만, 22년 04월 12일 (3월분) 8.4%로 예상값이 높게 예상했지만 실제 발표된 값은 8.5%로 시장의 기대치를 넘어서면서 인플레이션이 높아지고 있다고 시장에서는 해석하고 있습니다. 22년 06월 10일 (5월분) 8.3%로 예상 했지만, 실제 발표된 값은 8.6%로 발표가 되었고, 22년 07월 13일 예상값은 8.7%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대인플레이션
미국의 기대인플레이션 22년 04월 29일 (5.40%)가 발표되고 22년 05월 27일 (5.30%)로 0.10%가 낮아지는 발표후 22년 06월 24일 (5.30%)로 전원대비 변화가 없이 발표가 되면서 기대인플레이션이 높게 발표가 되었습니다.
미FOMC가 자이언트 스텝을 6월 15일 발표하는데 기대인플레이션의 수치였는데, 일단 인플레시션 상승은 멈춰보였다고, 미증시는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목표인 2%보다 높게 발표가 되고 있어서 다음 FOMC를 하기전 22년 07월 15일 발표되는 기대인프플레이션이 또하나 중요한 지표가 되고, 빅스텝인지 자이언트스텝인지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미국 기업재고, 미국 기업실적
미국의 기업실적(전분기대비)이 22년 05월 26일 발표 ( -4.30%)이 발표되면서 지난발표 3월 30일 발표 (0.20%)역시 지난분기 4.00%하락했는데, 이번분기역시 4.50%하락하였습니다. 미국의 기업재고(전월대비)이 22년 05월 17일 (2.00%)으로 전월재비 상승하였지만, 22년 06월 15일(1.20%)으로 전월대비 0.8%하락하면서 발표가 되었습니다. 미국의 기업재고는 제조업체, 도매업체, 소매업체가 보유한 재고를 달러로 측정한값을 발표하고, 총생산량(GDP)에 포함되는 않는 물건도 포함하고 있어서 경기의 흐름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중하나입니다. 기업의 실적과 기업의 재고가 늘어난다면 경기가 좋다는 의미로 해석하는데 지금은 기업실적도 (-)가 발표되고 기업의 재고역시 줄어들고 있어서 앞으로 경기가 좋지 못하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댓글